> 본당소개 > 주보성인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Francis)

성 프란치스코(Franciscus, 또는 프란체스코)는 이탈리아 중부움브리아(Umbria)의 아시아에서 부유한 포목상인 피에트로베르나르도네(Pietro Bernadone)의 아들로 태어난다.
그의 부친은 프랑스를 좋아했기 때문에 아들의 이름을 프란치스코로 개명하였다. 프란치스코는 젊은 날을 무모 할 정도로 낭비하고 노는 일로 보내다가 기사가 될 꿈을 안고 전투에 참가했지만 1202년에 투옥되었다. 석방되어 고향으로 돌아온 그는 잠시 옛 생활로 돌아가는 듯 보이다가 중병을 앓았고, 병에서 회복한 뒤로는 딴사람이 되었다.


그는 스폴레토(Spoleto)에서 그리소도의 환시를 보았는데, 이때 "내 교회를 고쳐라"는 말씀을 들으면서부터 지금까지의 모든 옛 생활을 청산하였다. 그는 버려진 옛 산다미아노(Sans Dmiano) 성당에서 들은 말씀을 글자 그대로 이해하고, 아버지의 가게에서 물건을 내다 팔아 성당을 수리하려고 시도하였다. 이 사건 때문에 그는 부친과 결별하게 되었고, 허름한 농부의 옷을 입고 '가난 부인'을 모시는 통회의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친구들이 그의 주위에 모여들었고, 3년 후인 1210년에 교황 인노켄티우스 3세(InnocentiusIII)가 극도로 가난을 살려는 그와 11명의 동료들을 인정하였다. 이것이 '작은 형제회', 곧 프란치스코회의 시작이었다.


그들의 본부는 아시시 교외 산타 마리아 데글리 안젤리(Santa Maria degli Angeli)에 있는 포른치운콜라(Porziu-ncola) 성당이었다. 이 작고 허름한 성당에서부터 프란치스코가 설립한 수도회는 역사에 그 유례가 없을 정도로 큰 나무로 성장하였다. 이탈리아 내외를 두루 다니면서 형제들은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통회와 보속의 생활을 단순한 말로 가르쳤다. 그들은 재산과 인간적인 지식 소유를 거부하였고 교계 진출 또한 사양하였다. 프랜치스코는 사제가 아니었고 다만 부제였다고 한다.


1212년 그는 성녀 클라라(Clara)와 함께 '가난한 부인회'를 설립하였다. 그리고 이때 그는 모슬렘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직접 찾아갈 정도로 선교에 대한 열정에 불타고 있었다. 그래서 1219년에 십자군을 따라 이집트로 갔다가 술탄 마레크 알 카멜의 포로가 되기도 하였다. 그는 결국 사레센 선교가 실패로 끝난 줄 알고 성지를 방문한 뒤에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1217년부터 이 수도회 안에는 새로운 기운이 치솟기 시작하여 조직이 강화되면서 발전의 폭이 커졌다. 관구가 형성되고 잉글랜드(England)를 비롯한 외국으로 선교사를 파견하는 등 참으로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그런데 프란치스코는 스스로 장상직을 사임하였다. 이 또한 역사에 길이 남을 일이었다. 그러나 그의 부재중에 몇몇 회원들이 수도회의 규칙을 완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음을 알고, 우고리노(Ugolino) 추기경의 도움으로 규칙을 확정짓고 승일 받았다.


1214년 그가 라 베르나 산에서 기도하던 중에 그리스도의 다섯 상처를 자신의 몸에 입었는데, 이것은 최초로 공식 확인된 오상이었다. 그리스도의 오상은 그의 일생 동안 계속되면서 그에게 육체적인 고통을 안겨 주었으며, 2년 후에는 '자매인 죽음'을 맞이하였다.


지금도 성 프란치스코에 대한 공경은 세계 도처에서 활기차게 이루어지고 있고, 그가 세운 재속 프란치스코 회원들도 다른 재속회원과 비길 수 없을 정도로 많아져 그의 성덕을 본받고 가난을 살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 그는 이탈리아어로 '태양의 노래'를 지었다. 그는 1226년 10월 3일 운명하였고, 1228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Gregorius IX)에 의해 시성되었다. 또한 1979년 교황 요한 바오르 2세(Joannes Paulus II)는 그를 생티학자들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 아씨시의 가난뱅이 프란치스코 만큼 교회 안에 큰 영향을 미친 사람은 다시없을 정도이다. 그래서 그는 제2의 그리스도라고 불리기도 한다.

평화의 기도

주여, 나를 당신의 도구로 써 주소서.
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
다툼이 있는 곳에 용서를
분열이 있는 곳에 일치를
의혹이 있는 곳에 신앙을
그릇됨이 있는 곳에 진리를
절망이 있는 곳에 희망을
어두움에 빛을
슬품이 있는 곳에
기쁨을 가져오는 자 되게 하소서.
위로받기 보다는 위로하고
이해받기 보다는 이해하며
사랑받기보다는 사랑하게 하여 주소서.
우리는 줌으로써 받고
용서함으로써 용서받으며
자기를 버리고 죽음으로써
영생을 얻기 때문입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